전체 글 (112) 썸네일형 리스트형 새로운 집합체의 탄생 도시의 탄생 이후의 문명도 그렇지만, 모든 초기 문명은 인간의 활동 영역을 변화시키는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전 사회보다 협동 작업이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었는데, 이는 한 지역에 더 많은 인구가 모이면서 가능해진 일이었다. '문명 civilization이라는 단어는 라틴어에서 온 말로, 도시화와 관련이 있다. 밀집해 있던 농촌이 종교 시설이나 시장을 중심으로 모여들면서 최초로 도시가 형성되었을 것이다. 그것이 정확히 언제였는지는 알기 어렵다. 하지만 도시에 사람들이 충분히 모여들면서 문명이 탄생했다는 사실과 도시가 그 전까지의다른 어떤 환경보다 사회의 변화를 빠르게 했다는 사실만은 틀림이 없다. 도시 안에서는 잉여 농산물 덕분에 문명화된 삶의 모습들이 형태를 갖춰 갔다. 성직자들은 다양한 종교 조직을 .. 초기 문명의 특성 초기 문명 이야기의 시작은 기원전 35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4대 문명 발상지 중 최초의 문명이 서아시아 메소포타미아에서 발생했고, 그다음은 이집트다. 이집트에서는 메소포타미아보다 조금 늦은 기원전 3100년경에 문명이 나타났다. 서아시아 지역에서 나타난 또 다른 문명은 기원전 2000년경 시작되는 지중해 동부 크레타의 미노아 문명이다. 여기서부터는 이 지역 내에서 무엇이, 혹은 어디가 먼저인지 알아볼 필요가 없다. 이제 이곳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하는 문명의 연합체가 되었기 때문이다. 파충류의 머리가 달린 이 도기는 메소포타미아의 우르에서 발견되었으며, 제작 연대는 기원전 5000년으로 추정된다. 한편 기원전 2500년경에는 또다른 문명이 인도의 인더스 계곡에 등장했다. 이곳에서는 한동안.. 문명의 탄생 초기 문명의 삶 아시아의 예리코에는 커다란 오아시스와 함께 마르지 않는 샘이 있었다. 이는 왜 사람들이 1만 년 동안이나 예리코를 떠나지 않고 살아왔는지 설명해 준다. 후기 구석기시대 말, 농민들이 그곳으로 몰려왔다. 당시 인구는 2000~3000명 정도였을 것이다. 기원전 6000년 이전에 예리코에는 거대한 물 저장고가 있었으며, 오랫동안 공들여 세우고 고친 웅장한 석탑도 있었다. 이것은 방어 시설의 일부였다. 물 저장고에는 아마도 농사에 필요한 물을 저장해 두었을 것이다. 예리코 주민들에게는 자신의 재산 등 분명 지키고 싶은 것들이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예리코를 문명의 발상지라고 할 수는 없다. 그러기에 예리코에는 아직 부족한 것이 많았다. 문명의 토대 문명의 시대를 본격적으로 설명.. 신석기 시대의 잉여 생산으로 인한 삶의 변화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문명의 탄생 인간의 역사는 이처럼 이전 시대에 대한 명쾌한 정리와 끝맺음 없이 그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계속 강조하지만, 역사의 시작을 확실하게 구분 짓는 경계선 같은 것은 없다. 각기 다른 환경 속에서 치열한 투쟁을 통해 성공적으로 살아남은 인간사회는, 선사시대가 끝나고 문명이 시작될 무렵 그 전의 어느 때보다도 다양한 모습이었다. 그중 일부는 선사시대의 생활방식을 그대로 이어가고 있었다. 지금은 거의 사라진 일본 북부지방의 아이누족은 19세기경까지도 1만 5000년 전의 생활방식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16세기에 북아메리카로 들어간 영국인과 프랑스인들은 그곳에서 사냥과 먹이 채집 등 1만 년 전 조상들이 했던 방식 그대로 살아가는 사람들을 만났다. 고대 그리스의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인류가 처음 접한 풍요로운 삶의 득과 실 잉여 산물이 가져온 영향 인류는 이제 당시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새로운 시대에 들어섰다. 물론 아직 진정한 의미의 '역사'가 시작된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농업의 시작은 이후 인류 역사의 진행 방향을 이해할 수 있는 토대가 되었다. 우선 인류는 농업과 함께 환경을 크게 변화시켰다. 사냥과 먹이 채집이 중심인 사회에서는 한 가족을 부양하는 데 수백만 평의 땅이 필요했지만, 원시 농경사회에서는 이 땅의 100분의 1 정도면 충분했다. 식량이 안정적으로 공급되자 정착 생활은 큰 흔들림이 없었다. 현재와 같은 마을 이 생겨난 것도 이때였다. 좁은 공간에서 많은 인구가 모여 사는 것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식량 생산에 직접 참여하지 않고도 사회 구성원으로 인정되는 사람도 생겨나게 되었..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3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