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사

고대 이집트의 시작

728x90

새로운 문명의 탄생

문명이 탄생한 곳은 메소포타미아만이 아니었다. 이집트 역시 메소포타미아에 견줄 만큼 오래되었으며 그에 뒤지지 않는 문명이었다. 이집트의 고대 문명이 사라진 지 수천 년이 지난 후 그 유적이 나일 계곡에서 발견되자 사람들은 탄성을 터뜨렸다. 문명에 대한 자부심이 강했던 그리스 인조 차 반인반수의 신들이 살았다고 전해지는 이곳의 신비로운 전설에 매혹당했다. 사람들은 오늘날도 여전히 피라미드에 숨겨진 초자연적 의미를 알아내려고 애쓴다. 고대 이집트는 오늘날 우리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위대한 고대의 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메소포타미아의 영향

메소포타미아 문명보다 이집트 문명에 대해 우리가 더 많이 알게 된 것은 이집트의 유물이 더욱 풍부하게 남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또 한 가지 중요한 이유가 있다.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수메르 문명이 이집트보다 먼저 등장했다는 사실이다. 이집트는 수메르의 경험과 선례를 바탕으로 새로운 문명을 일궈낼 수 있었다.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 문명이 이집트에어 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많다. 수메르 문명의 영향은 초기 이집트 예술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집트에서 무언가를 기록하기 시작했을 무렵, 그들에게도 메소포타미아에서 쓴 것과 같은 원통형 도장이 있었다. 이집트의 그림 문자인 상형문자도 수메르 문자의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돌로 거대한 건물을 짓는 기술 역시 비슷했다. 초기 이집트가 수메르 문명으로부터 중요하고도 다양한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이집트 사람들이 언제 어떻게 수메르 문명과 만나게 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아마도 수메르 문화는 나일강의 삼각주 지대와 하류에 살던 사람들을 통해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당시 이집트는 수메르 문명 외에 다른 문명권과는 교류가 어려운 특수한 환경 아래 놓여 있었다. 그 배경은 바로 나일 강이다. 나일 강은 선사시대에도 그랬지만, 역사시대에 들어서도 이집트의 젖줄이었다.

자비로운 나일강

이집트를 위성사진으로 바라본 모습이다. 나일강이 흐르고 있다.
이집트의 위성사진

이집트에는 나일 강이 흐르고 있었고, 이를 사막이 둘러싸고 있었다. 이집트는 강물이 흐르는 주위로 길게 이어진 하나의 오아시스나 다름없었다. 아마도 선사시대의 이집트는 길이가 1,000km에 이르는 거대한 습지였을 것이다. 하지만 이 습지의 폭은 나일 강 하류에 넓게 펼쳐진 삼각주를 제외하면 몇 킬로미터에 불과했다. 이 지역에서는 아주 옛날부터 해마다 홍수가 일어났다. 강 근처에 사는 사람들은 이 홍수를 피할 수 없는 운명으로 받아들이고 살아가야만 했다. 해마다 높이 쌓여 가는 진흙층 위에 농업이 점차 뿌리를 내렸겠지만, 처음 이곳에 형성된 사회는 안정적이지 못했을 것이다. 그들의 생활터전은 대부분 나일 강 삼각주의 진흙층에 휩쓸려 사라져 버렸다. 아직까지 남아 있는 이 무렵의 유적들은 범람 지역의 가장자리나 지반이 안정된 곳에서 생활했던 사람들이 남겨 놓은 자취이다. 선사시대의 이집트인들은 기원전 4000년 이전, 중대한 기후 변화를 느끼기 시작했다. 사막에서 모래가 날아왔고, 건조한 기후가 시작되었다. 기본적 인농 업 기술을 갖고 있던 사람들은 범람 지대의 질 좋은 토양을 활용하기 위해 강 쪽으로 내려왔을 것이다. 나일 강은 처음부터 이집트인들에게 풍요로움을 가져다주었다. 그들에게 나일 강은자 비 로운 신이었다. 사람들은 감사하는 마음으로 나일 강이 베푸는 풍족한 선물을 받아들였다. 수메르인은 강물이 넘쳐서 생긴 진흙탕 속에서 경작지를 만들기 위해 온갖 애를 썼지만, 이집트인들은 달랐다. 나일 강은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무자비한 자연환경과는 달랐던 것이다. 이집트 북쪽 지중해 연안의 레반트나 아나톨리아 지역보다 뒤늦게 자리 잡기는 했지만, 이집트의 농업은 금세 풍요로운 결실을 맺었다. 그리하여 이집트에는 사람과 자원이 넘쳐 나게 되었다. 기원전 4000년경 이집트인과 수메르인이 교류했다는 증거는 현재까지 남아 있다. 하지만 당시 수메르인의 경험은 이집트인이 문명을 만들어 가는 데 자극이 되었을 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는 없다. 사실, 나일 강 유역은 언제든 문명이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그 가능성을 현실로 만드는데 외부의 자극은 그다지 많이 필요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마침내 나일 강 유역에서 뿌리를 내리기 시작한 이집트 문명은 다른 어느 곳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모습을 갖춰 나가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