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사

이집트의 종교와 성직자의 계급

728x90

이집트 종교

고대 이집트의 종교적 체계가 매우 치밀하게 잘 짜여 있었다는 사실은 다른 민족을 놀라게 했다.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그리스 신들의 이름이 이집트에서 비롯되었다고 믿었다. 그 생각은 틀렸지만, 그가 그렇게 생각했다는 점은 흥미롭다. 나중에 로마제국의 황제들은 이집트의 신을 숭배하는 것이 위험하다고 생각해 이를 금지했다. 하지만 결국에는 다시 허용할 수밖에 없었다. 이 사실에서 이집트의 신이 다른 지역 사람들에게도 상당히 매력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집트의 영향력은 18세기 유럽에까지 스며들어 있었다. 이집트의 종교는 열정이 넘쳤다. 이집트 문명의 다른 측면들처럼 종교적 열정은 정치 구조보다 훨씬 더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하지만 고대 이집트의 종교에 대해 여전히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남아 있다. 고대 이집트의 종교는 이후에 생겨나는 교회처럼 독립된 형태를 띠었다고 보기 어렵다. 당시의 종교는 삶과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일부분이었다. 초기 메소포타미아인들과 이집트인들의 세계관에 관한 중요한 저서로 『철학 이전에」라는 책이 있는데, 이 제목은 의미하는 바가 무척 크다. 다른 시대 사람들의 정신세계에 대해 추측해 볼 때 우리가 당연하게 생각하는 개념이나 전제가 그들의 머릿속에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예컨대 고대 이집트인들에게 종교냐 주술이냐를 구분하는 것은 별로 중요하지 않았다. 물론 각각의 효험이 따로 있다고 생각하기는 했지만 말이다. 이집트 종교에서 주술은 언제나 암적인 존재였다는 말이 있다. 그것은 지나친 해석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어쨌든 종교와 주술이 매우 밀접한 관계였음을 알 수 있다. 고대 이집트에서 종교의 의미와 역할을 이해하려면 그들의 세계관 전체를 살펴보아야 한다. 그들의 문명이 지속된 거의 대부분의 기간에 고대 이집트인들은 종교에 대해 놀랄 만큼 일관된 경향을 나타냈다. 그들은 종교를 통해 변화무쌍한 인간의 삶을 꿰뚫어 보고자 했다. 그것은 죽은 자들이 살고 있다고 생각한, 변하지 않는 확고한 세계에 이르기 위해서였다. 또한 고대 이집트인은 이름과 사물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했다. 그들에게는 이름이 곧 사물 그 자체였다. 상징의 개념도 마찬가지다. 이집트인들은 '상징'이라는 바닷속에 사는 물고기와 같았다. 그들을 이해하려면 지금의 관점에서 벗어나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

이집트의 종교행위
이집트의 성직자

다양한 종교와 성직자 계급

이집트의 종교는 대단히 복잡했다. 지역에 따라 숭배하는 대상이 달랐다. 이는 사상이나 교리에 차이를 가져오기도 했다. 이를 테 기원전 14세기의 한 파라오는 또 다른 태양신 아톤을 숭배하는 전통을 세웠다. 여기서 하나의 신만을 인정하는 최초의 유일신 사상을 엿볼 수 있다. 이후에도 변화는 계속되었다. 물론 이 과정에 정치적 목적이 개입되기도 했다. 이집트의 종교를 오늘날의 관점으로 해석해 보면, 결국 그 내용은 그들이 믿던 신이 어떻게 번성하고 쇠퇴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이야기다. 그리고 그것은 종교적이라기보다는 정치적인 것이었다. 종교에 관심을 둔 것은 파라오뿐만이 아니었다. 신앙을 뒷받침하는 제도는 대대로 특권을 물려받는 성직자 계급의 손아귀에 있었다. 성직자들은 성스러운 장소에서 예배 의식을 진행했는데, 그 공간은 일반인들이 거의 들어가 본 적조차 없는 곳이었다. 신전의 제단에 있는 신상도 성직자 이외에는 거의 아무도 볼 수 없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성직자들은 대중들의 인기를 얻으며 더 큰 권력을 얻었고, 그들이 거행하는 종교의식도 더욱 위상이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