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12)
상업의 발달 장거리 교역 금속을 다루려면 야금술이 필요했고, 이러한 기술은 또 다른 변화를 일으켰다. 금속을 얻기 위해 먼 지역 간에 복잡한 장거리 무역이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 장거리 교역으로 다양한 물건을 교류하면서 고대 세계에는 통일된 특성이 생겨났다. 이런 통일성은 기원전 2000년대 말이 되어서야 붕괴되었다. 예컨대 주석은 메소포타미아와 아프가니스탄, 아나톨리아에서 가져와야 했다. 키프로스의 구리 역시 많이 거래되었다. 유럽은 고대 역사에서 주변부에 머물러 있었지만, 구리를 찾는 과정에서만큼은 중요한 지역으로 새롭게 떠올랐다. 발칸 반도에 있는 땅속으로 뚫은 어떤 길을 보면, 기원전 4000년 이전에 구리를 캐기 위해 지상으로부터 20여 미터를 파 들어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후 일부 유럽 민족이..
기병의 등장과 무기의 변화가 가져온 고대국가 기병의 등장 말을 타고 싸우는 기병이 등장하면서 전투를 하는 모습도 달라졌다. 안장에 걸터앉아 말 위에서 적과 싸우는 것이 진정한 의미의 기병이지만, 이런 기술을 제대로 익히는 데는 오랜 세월이 걸렸다. 말을 몰면서 동시에 활이 나 창을 다루는 일은 무척 어려운 일이었다. 말 타기는 이란 고원 지대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이곳에서는 일찍이 기원전 2000년부터 말 타는 기술이 널리 이용되었다. 이 기술은 기원후가 되기 전까지 서아시아와 에게해 지역으로 고루 퍼져 나갔다. 기원전 1000년 이후에는 무기로 무장한 기병이 등장했는데, 그들의 전투력과 신속한 기동력은 보병을 능가했다. 이를 시작으로, 오랜 세월 동안 중무장한 기병은 중요한 전투 수단이 되었다. 하지만 그 가치가 충분히 빛을 발하게 된 것은 몇 세..
고대 서아시아의 암흑시대에 대해서 알아보자. 침략자와 침입자들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는 역사시대의 출발점이었다. 세계사는 한동안 이 두 문명지에 대한 이야기들로 가득했다. 그래서 어느 정도는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의 역사를 다른 세계와 따로 떼어 놓고 다룰 수 있었다. 하지만 이들의 이야기를 고대 세계나 고대 서아시아에 관한 이야기의 전부라고 할 수는 없다. 기원전 2000년이 지나자 곧이어 이민족이 이동하면서 서아시아의 질서가 파괴되고 새로운 상황이 벌어지기 시작했다. 또 그로부터 1,000년 후에는 그 외의 지역에도 문명의 중심지가 나타나게 된다. 그때쯤이면 우리는 이미 역사시대로 한참 들어와 있다고 말해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역사가들에게는 불행한 일이지만, 사실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알 수는 없다. 오랫동안 세계의 그 어떤 지..
이집트의 쇠퇴와 남겨진 유산 이집트의 쇠퇴 신왕국은 투탕카멘이 죽고 나서도 200년간 지속되었지만 점차 빠른 속도로 쇠퇴해 갔다. 신왕국의 쇠퇴는 투탕카멘이 죽은 후 그의 부인이 히타이트 왕자와 결혼하려고 한 사실에서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결혼식이 있기 전 왕자가 살해당하면서 이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다. 후대의 왕들은 쇠퇴한 나라를 되살리려고 애썼고,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그럴 때면 이집트군은 팔레스타인 위쪽까지 세력을 넓히기도 했다. 어떤 파라오는 이전의 파라오들이 다른 민족의 공주와 결혼했던 것처럼 히타이트의 공주를 신부로 삼기도 했다. 하지만 곧 새로운 적들이 나타났다. 히타이트와의 동맹조차 더 이상 보호막이 될 수 없었다. 에게 해는 곧 혼란에 휩싸였다. '섬들이 사람들을 토해냈다', '그들 앞에서는 어떤 ..
이집트의 끝... 선왕국 이후의 이집트 고립의 끝 신왕국시대에 외국과 교류가 늘어났다는 것은 또 다른 사실을 의미했다. 이는 이집트가 주변으로 세력을 넓혀 나가는 방식에 중요한 변화가 일어났음을 뜻한다. 가장 중요한 지역은 지중해 동부의 레반트 해안 지대였다. 투트모세 3세는 이곳을 정복하기 위해 17년의 세월을 쏟아부었다. 하지만 그는 끝내 시리아 동부와 메소포타미아 북부를 지배했던 거대한 미탄니 제국을 정복하지는 못했다. 그의 후계자들은 방향을 완전히 바꾸었다. 급기야 한 파라오는 미탄니의 왕녀와 결혼까지 했다. 이렇게 신왕국은 레반트 지역에서 나라를 보호하기 위해 미탄니와 좋은 사이를 유지하는 친선 정책을 펼쳐 나갔다. 이집트는 오랫동안 보호 벽처럼 작용했던 고립에서 서서히 빠져나오고 있었다. 한편 미탄니는 점차 강해지는 북쪽의 히타이트..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