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민족인 히타이트 민족 및 위치를 소개하겠습니다. 이 게시물을 모두 읽어주시면 히타이트 민족과 주로 생활했던 위치와 반경 그리고 어떻게 새로운 민족으로 떠오르게 되었는지 알게 될 것입니다. 히타이트 민족 및 위치와 그들의 삶에 대한 궁금증이 있다면 전체 다 읽어주세요. 아래의 게시물에서 정보를 드리겠습니다.
히타이트 제국의 위치
히타이트 제구구은 14~12세기 가장 방대한 영토를 차지하였는데, 그 위치는 흑해 아래에서부터 키데슈 지역까지 매우 넓은 영토를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히타이트 제국의 지리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려진 것이 없긴 하지만 추측해볼 수 있다. 히타이트 제국은 수도 하투사스를 중심으로 이나톨리아 고원에서 점차 커져갔다. 기원전 1300년에는 오론테스 강가의 카데슈 지역에서 히타이트의 무와탈리스 왕과 이 집의 람세스 2세의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다.
철을 들여온 히타이트
문명화된 서아시아의 이야기는 일찍이 기원전 2000년대 초에 시작된다. 이때쯤 소아시아에는 히타이트인이 들어온다. 히타이트인은 미노아 문명의 사람들과 같은 계통이었던 듯하다. 히타이트인은 미노아 문명이 위대한 도약을 향해 나아가고 있을 무렵 지중해 동부 아나톨리아에서 기반을 다졌다. 그들은 결코 미개한 야만족이 아니었다. 그들에게는 고유의 법제도가 있었고, 바빌론으로부터 많은 것을 받아들인 상태였다. 히타이트는 오랫동안 아시아의 철을 독점했다. 철제 농기구는 농업 생산력 증가에 큰 역할을 했다. 뿐만 아니라 철제 무기는 전차 나성을 쌓는 기술과 함께 히타이트가 군사적으로 한 수 위에 있을 수 있도록 해 주었다. 결국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는 이러한 히타이트로 인해 많은 시련을 겪어야 했다. 기원전 1590년경 바빌론을 무너뜨린 사건은 최초의 히타이트 제국이 절정기에 이르렀을 때 일어났다. 그 뒤 쇠퇴기가 있었지만, 히타이트는 기원전 14세기 초 다시금 번영을 누렸다. 이 두 번째 시대는 전보다 훨씬 더 찬란했다. 히타이트의 세력은 한때 지중해 연안에서부터 페르시아 만에까지 이르렀다. 히타이트는 이집트를 제외한 비옥한 초승달 지대 전역을 지배했고, 군사 강국 이집트와 대결을 벌이면서 미케네와 거의 끊임없이 전쟁을 치렀다. 하지만 다른 제국들처럼 히타이트 제국은 약 100년 뒤 쇠약해져 결국 기원전 1200년경 붕괴되고 말았다.
히타이트 민족의 종말
그리스와 에게 해 지역의 암흑시대 초기에는두 가지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우선 이 무렵 히타이트인이 더 이상 철을 독차지하지 못하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기원전 1000년경에 이르면, 철기가 서아시아 전역에서 사용되고 있었다. 히타이트인이 독차지했던 독점 무기인 철기가 널리 전파된 것은 히타이트인 이 영향력을 잃게 된 중요한 요인이었을 것이다. 또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그 사건이 당시의 민족 이동과 시기적으로 일치한다는 점이다. 철기 기술을 전파한 자들은 기원전 1200년경 이 지역에 혼란을 몰고 온 인도-유럽계 민족들이었던 것 같다. 소아시아의 트로이는 아카이아인의 약탈과 파괴로 결국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졌다. 트로이의 몰락은 당시의 상황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는 사건이었다. 트로이는 소아시아의 강국들을 연합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당시 소아시아의 국가들이 북부의 다른 민족들에 대항해 힘을 합쳐 싸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트로이가 무너지자 외부 세력에 대한 대항의 핵심이 사라지고 말았다. 히타이트의 몰락과 이집트에 남아있는 해상 민족의 공격에 대한 기록을 보면 이들이 매우 비슷한 시기에 일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어떤 학자들은 이것을 우연이라고 보지 않는다. 해상 민족 중에는 히타이트를 정복한 프리기아인*이라는 민족이 있었던 것이다.
비슷한 글
-2022.03.27 - [세계사] - 페니키아인에 대해서 알아보자.
페니키아인에 대해서 알아보자.
페니카아인과 그들의 근거지에 대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이 글을 모두 읽으면 페니카아인 및 해상 민족 페니키아인, 무역 기지를 알아두시는 데에 보탬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페
wisedongdong19.tistory.com
-2022.03.18 - [세계사] - 수메르 문명의 탄생에 대해서 알아보자
수메르 문명의 탄생에 대해서 알아보자
수메르 문명의 탄생 수메르는 오래전 메소포타미아 남부 지역을 가리키던 이름이다. 당시 메소포타미아는 오늘날보다 남쪽으로 150km가량 짧았다. 그곳에 살던 사람들은 남서쪽의 셈족과 달랐고
wisedongdong19.tistory.com
- 2022.03.26 - [세계사] - 미노아 문명의 성장과 쇠퇴
미노아 문명의 성장과 쇠퇴
미노아 문명의 종말 미노아 문명이 절정을 이룬 것은 기원전 1600년 경이다. 그리고 미노아의 궁전들이 파괴된 것은 그로부터 약 100년 뒤이다. 왜 이러한 사건이 일어났는지는 여전히 궁금증을
wisedongdong19.tistory.com
히타이트 민족과 그들의 삶에 대해서 전달해드렸습니다. 전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른 지식도 필요하시다면 위의 글들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좋아요, 하트(공감)를 부탁드립니다.
'세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나안 땅에서 발생한 일 (0) | 2022.03.29 |
---|---|
새로운 민족의 부상 (0) | 2022.03.29 |
서아시아의 혼란 (0) | 2022.03.28 |
페니키아인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2.03.27 |
에게 헤 주변의 인구 변화 (0) | 2022.03.27 |